KEC(개정후내용)/전기기사 전기설비 및 판단기준

전기기사 2019년도 2회차 KEC 기출문제풀이(개정후)

전기는빠지직 2021. 5. 6. 21:22

안녕하세요!! 오늘은 2019년도 2회차 kec(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기출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kec로 개정 된 문제들은 넘어갈 문제나 바뀐 내용들은 문제마다 알려드릴께요



저압 옥상 전선로에서는 이 그림을 기억해주시고
1. 지지점간 거리: 15m
2. 이격거리: 2m
3. 전선의 굵기: 2.6mm
또한 특고압은 옥상에 시설 불가능하다는 것도 같이 알아두세요!!
그래서 정답은 4번입니다!!0.5m가 아니라 2m겠죠!!





시가지 시설시 전선의 높이는 35kV이하 초과로 나뉩니다
35kV이하: 10m(절연전선: 8m)
35kV초과 : 10 + 0.12n
여기서 n은 단수라고 하는 것인데 기준전압인 35kV와 문제에서나온전선 66kV를 알아두시고
n = (66-35) / 10 = 3.1 이고 여기서 나온 단수인 n은 무조건 절상을 해주어야합니다
그래서 n = 4가 됩니다
이거를 공식에 대입해준다면 10 + 0.12 x 4 = 10.48 이 됩니다!!
그래서 답은 3번입니다!!







다음은 지선의 시설 문제입니다
지선의 사항 5가지
1. 안전율 : 2.5
2. 인장하중: 4.31kN
3. 높이: 5m
4. 2.6mm 연선을 3가닥 꼬아서 사용
5. 30cm까지 아연도금처리
지선에서는 이렇게 5가지를 똑 외워주시고 넘어가주세요!!
맞는 것을 고르는 것이므로 답은 2번이 되겠죠!!





무선용 안테나 등을 지지하는 철탑, 철주, 철근 콘크리트주의 기초의 안전율은 1.5이상입니다!!
간단하게 나오는 문제이지만 은근히 잘나오는 문제이므로 확실하게 알고 넘어가주세요 ㅎㅎ
정답은 2번입니다!






kec개정으로 인해 더 이상 출제되지 않는 문제입니다!!넘어가주세요!!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취급자가 오르고 내리는데
어린애들이 술래잡기 하고 장난치고 이러는데 올라가고
그러면 안되겠죠??!!
어른들만 오를 수 있게 발판 볼트는 1.8m미만에 시설해서는 안됩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철탑 철근콘크리트주 철주는
1. 직선형
2. 각도형
3. 내장형
4. 보강형
으로 크게 나뉘고 직선형과 각도형의 차이는
직선형은 3도 이하로 직선인것이고 각도형은 3도 초과으로 휘어진 것을 말합니다
그래서 정답은 3번 3도입니다!!







풍압하중은 원래는 값을 물어보는 값을 많이 물어보는데
갑종 을종 병종이 있고
갑종(표준)
을종은(빙설이 많은지역)
병종(인가 밀집지역, 빙설이 적은 지역)
이렇게 나뉩니다
하지만 빙설이 많은 지역이여도 고온지역이라면 갑종을 대입해주어야합니다

빙설이 많은지역
갑종(고온지역)
을종(저온지역)

빙설이 적은지역
갑종(고온지역)
병종(저온지역)

이렇게 알고 계시면 됩니다 약간의 말장난이 들어가서 글을 확실하게 읽고
이해하고 답해주셔야합니다
1번은 빙설 많다
고온 -> 갑종
저온 -> 을종 이므로 정답입니다
2번은 빙설 많다
고온 -> 을종(x,갑종)
저온 -> 갑종(x, 을종)
3번은 빙설 적다
고온 -> 갑종
저온 -> 을종(x, 병종)
4번은 빙설 적다
고온 -> 을종(x, 갑종)
저온 -> 갑종(x, 병종)
이므로 1번이 정답입니다!!
잘 이해해주세요 ㅠㅠ





조상기 내부에 15000kVA이상이면 내부 고장이 생기면 동작하는 장치를 설치해야합니다!!
발전기에서는 10000kVA내부고장시 자동차단장치를 설치하는데 이거와 헷갈리지않아야합니다!!
조상기는 15000 으로 잘 기억해주세요!!
정답은 4번입니다






고압 가공전선로에서 가공지선은
4mm이상의 나경동선을 사용합니다
"나" 가 마치 4랑 비슷하게생겼죠..?
이렇게라도 알아두세요...ㅎㅎㅎ
정답은 3번입니다!!








kec개정으로 인해 더 이상 출제되지 않는 문제입니다 넘어가주세요!!







kec개정으로 인해 더 이상 출제되지 않는 문제입니다!!넘어가주세요!!






지중전선로
1. 직접매설식
2. 관로식
3. 암거식
이렇게 3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아두시고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다 - 1.0m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다 - 0.6m
로 잘 기억해주세요!!!
그래서 정답은 2번입니다!!







kec개정으로 더 이상 출제되지 않는 문제입니다 넘어가주세요!!!!





2번 3번 4번은 잘 읽어보시면 충분히 설치해도 될 것 같은 얘기들이고
1번은 기계기구를 지표상 4.5m(시가지외에는 4m)이상의 높이에 시설해야합니다
그래서 정답은 1번입니다!!






이 문제는 2번 유입 자냉식이 답이라는 것을 그냥 알아두시고!!
더 많이 나오는건 타냉식변압기에서 냉각장치에 고장이 생긴 경우에
변압기의 온도가 현저하게 상승한 경우에
"경보장치" 를 설치한다 경보장치가 답으로 많이 나오는데
이 문제 같은 경우에는 그래도 한번더 나올 수 있으니 경보장치와 함께 잘 기억해두세요!!
답은 2번입니다!!





과부하 보호 장치 생략할 수 있는 조건은
1. 정격출력이 0.2kW이하 인 경우
2. 취급자가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3. 과전류가 생길 우려가 없을 때
4. 단상 전동기로서 그 전원 측 전로에 시설하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가 16A(배선용 차단기는 20A) 이하 인 경우
2번은 딱봐도 값이 너무 낮아서 안해도 될것 같지 않나요??
그래서 정답은 2번입니다!!!!












Kec개정으로 더 이상 출제되지 않는 문제입니다!! 넘어가주세요!!









kec개정으로 더 이상 출제되지 않는 문제입니다 넘어가주세요!!!








문제에서는 특고압이고 케이블을 사용했으니 건조물과의 옆쪽 이격거리는
0.5m 즉 50cm가 되겠죠??!!
또한 35kv가 넘게되면 3 + 0.15n을 해주어야합니다
앞에서 n은 단수를 말하는 거고 (나온전압 - 기준전압) / 10 을 해주고 절상을 해주는 것입니다
위에서는 0.12n이였고 여기선 0.15n 이였던점 잘 기억해주세요!!
아무튼 여기서 정답은 50cm 1번입니다!!





오늘도 기출문제푸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ㅠㅠ
전기기사 얼마 남지 않았는데
꼭 합격하실 수 있을 꺼예요!!
다같이 화이팅하고 끝까지 노력해서 취뽕합시다!!!!
고생하셨습니다!!!!!